2018년 4월 8일 설교
“응답되는 기도를!” (대하 6:12-21 ‘솔로몬의 기도중심’) 18. 4. 8.
동부아프리카 우간다에서 최초로 순교한 사례이다. 한 추장이 기독교의 씨를 말려버리겠다고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을 잡아들였는데, 어린 소년 세 명을 체포하게 되었단다. 그 소년들은 15살, 13살, 11살이었다. 부모들은 물론 마을사람들이 울면서 추장에게 아이들을 살려 달라고 간청해도 소용없었던 것은 그 어린 세 소년이 생명을 내걸고 믿음을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었고, 결국 화형을 당하게 되었다. 세 소년들은 추장에게 이런 유언을 말했단다. “부활하여 우리와 함께하시는 예수님을 추장에게 말해 주시오. 추장님이 우리 몸을 불 가운데 죽게 하지만 우리는 이 불에 오래 있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곧 구원받아 이 세상에 있는 것보다 더 나은 예수님의 곁 천국에 있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추장에게 회개하고 마음을 바꾸라고 전해주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영원한 불 못과 멸망인 지옥으로 떨어지게 될 것입니다.”
그 소년들은 화형을 당하면서 찬송을 불렀는데 그 순교찬송은 지금도 우간다 교인들은 자주 애창하고 있는데 그 찬송가사에 이런 말이 있단다. ‘아! 내게도 천사들처럼 날개가 있으면 날아올라 주님 곁에 있을 것을’ 또 11살 먹은 가장 어린 소년이 불속으로 들어가면서 남긴 말이란다. “내 손을 자르지 말아 주세요. 나는 불 속에서 몸부림을 치지 않을 것이니까요. 왜냐하면 그 불이 나를 부활의 생명이신 주님께로 데려다 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그 소년들이 순교하던 날 그 모습을 목격하였던 어른들 중에 40명이 예수님을 믿었다는 것이다. 진정 참된 믿음은 아무리 무서운 화형이라도 예수님을 부인하게 하지 못했다. 그래서 우란다의 수도 캄팔라 근교에 그 세 소년의 순교자 기념비가 있단다. 그 세 소년들은 믿은 지 오래되지 않아 성경도 조금 읽어 본 정도라서 신앙적인 지식도 거의 없었지만, 부활신앙만큼은 죽음 앞에서도 예수님을 사랑하고 찬송하며 증언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렇게 삶을 만드는 믿음이 진짜 임마누엘 믿음이지요.
오늘 설교본문도 솔로몬 왕이 임마누엘신앙 삶을 간절하게 사모하고 확신한 나머지 그 신앙중심을 기도로 표현하고 있는 모습을 잘 볼 수 있게 해주고 있는데, 지금 함께 확인해 보자(20 ‘내 이름을 거기에 두리라’ ‘이 성전을 향하여’ ‘주야로 보시오며’ ‘기도를 들으시옵소서’ 이 네 말씀이 공통으로 교훈하는 바는 하나님과 만남을 사모한 것임. 즉 전지전능하신 창조주 하나님께서 우주적으로 활동하고 계시지만 성전에서 기도시간에 만남을 사모한다는 솔로몬 왕의 마음을 표현한 것임. ‘기도’תפלה 테필라 intercession 중보기도. ‘간구’<תחנה 테힌나 prayer for mercy 간청 19>, ‘부르짖음’ רנה 리나 cry for help ‘비는’ פלל 팔랄 intercede ‘기도’< תפלה 테필라 20>, ‘기도’<פלל 팔랄 ‘간구’ תחנה > = 여러 형태의 기도들; 중보기도, 간청, 도움을 위한 울부짖음 등등 여러 모습으로 기도할 때 다 만나주시고 응답해 달라는 호소였음!).
‘지옥생활에서 천국생활로’라는 책도 쓰셨던 멀린 캐더로스 목사님이 청년 때 할아버지 집에 마무르다 반강제적으로 예배에 참석하게 됐는데 그때 거기에 있는 사람들이 불쌍하게만 보이더란다. ‘불쌍한 사람들, 세상재미를 모르는 사람들이구나. 그렇지 않고서야 이런 창고 같은 곳에서 밤을 허비하지 않을 텐데......’ 찬송을 부르기 시작하고 잠시 후 무슨 소리가 들렸다. “무슨 말을 하는 거야?” 그는 뒤를 돌아다보았는데 아무도 없었다. 그런데 그 목소리가 또 다시 들려왔다. “오늘밤이 아니면, 때는 이미 늦을 것이다!” 그는 머리를 흔들면서 반사적으로 말했다. “뭐라고?” 조용했다. ‘헛소리를 들었나?’ ‘그러나 확실히 말소리였다’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하나님의 음성’이라는 생각이 섬광처럼 지나갔다. 그는 자신도 모르게 중얼거렸다. “예, 하나님.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대로 순종하겠습니다.”
그 후, 그는 도박생활을 정리하고 새 인생을 시작했다. 그리고 그는 목사가 되었다. 군목에 지원하였다. 군목을 하면서 주님이 원하지 않으시는 최면술과 강신술에 관한 책을 읽다가 눈을 60%나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멀린 목사님은 간절히 회개기도를 드리다가 뜨거운 성령체험을 하면서 눈을 치료받게 됐다.
창조주 하나님은 인간의 지식과 경험세계로는 전혀 설명할 수 없는 계획과 성취를 분명히 하고 계신다. 이 사실을 시인하는 사람들도 있고, 오히려 미친 놈 취급하는 사람도 많다. 그런데 솔로몬 왕은 하나님이 살아계심을 100% 시인하는 사람이었다. 그래서 성전을 최고급으로 지었고, 하나님께서 제발 함께 해 주시는 정권을 사모한 나머지 성전을 하나님께 바칠 때, 바로 그 마음으로 기도하였는데 하나님은 불로 응답을 해 주셨다는 것이다(7:1).
그래서 오늘은 솔로몬 왕이 하나님께 기도하는 모습(자세, 태도, 하나님께서 중요하게 보시는 그게 뭔지 분명하게 확인해 보고 우리도 활용해서 체험해 보자는 것이다.
1) 제단 앞(12)
지금 우리가 주목할 바는 솔로몬 왕이 기도하는 자리인데, ‘제단 앞에서’ 이다. ‘제단’은 하나님께 바치는 무흠 생축 제물에게 자신의 죄를 옮기는 안수를 한 후에, 잡아서 태우기 위하여 놋으로 만든 번제단인데, 크기는 정사각형으로 이십 규빗 X 이십 규빗 X 십 규빗이었다(4:1). 그런데 솔로몬 왕은 성전을 지을 때부터 번제단 앞에 기도하는 자리를 마련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13. ‘솔로몬이 일찍이 놋으로 대를 만들었으니’ =즉흥적인 임시방편으로 급조한 게 아니었음!). 하나님께 바침으로 하나님이 열납하시게 하려는 기도나 찬송, 헌금, 헌신봉사를 기분대로 하지 말자는 게 솔로몬 왕의 신앙태도이었다는 것이다.
미국의 홀리데이 인(Holiday inn) 호텔 전 회장 클라이머는 수백 개의 호텔을 운영하면서 호텔에 카지노 도박장을 둔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단다. 호텔사업은 객실보다 도박장 수입이 훨씬 좋단다. 그래서 회사의 간부들이 사세 확장을 위해 뉴저지주의 호텔에 카지노를 설치하자고 제안하였고, 클라이머 회장은 단호히 거절했다. 하지만 회사의 중역들은 끊임없이 카지노 설치를 건의해 왔다. 클라이머 회장은 도박장 설치를 놓고 가족들과 상의한 후 회장직을 포기했단다.
클라이머 회장은 은퇴식 때 직원들에게 이런 말을 했단다. “제가 운영하는 호텔에 카지노를 두지 않기로 하나님과 약속을 했습니다. 인간들끼리의 약속도 중요한데 하나님과의 약속은 얼마나 더 소중한 것입니까! 제가 하나님과의 약속을 지키는 길은 회장직에서 물러나는 것뿐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저는 지금 무척 평안한 마음입니다.”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 누구며 그 거룩한 곳에 설 자가 누군고 곧 손이 깨끗하며 마음이 청결하며 뜻을 허탄한데 두지 아니하며 거짓 맹세치 아니하는 자로다’(시 24:3-4). 늘 생각나길 축복한다. 아멘.
2) 무릎 꿇고(13)
솔로몬 왕은 성전을 봉헌하면서 기도할 때 무릎을 꿇고 두 손을 들었다고 하였다. 무릎을 꿇는 의미는 ‘기록되었으되 주께서 이르시되 내가 살았노니 모든 무릎이 내게 꿇을 것이요 모든 혀가 하나님께 자백하리라 하였느니라’(롬 14:11).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에 있는 자들로 모든 무릎을 예수의 이름에 꿇게 하시고 모든 입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여 하나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셨느니라’(빌 2:10-11). 예수님께서도 ‘돌을 던질 만큼 가서 무릎을 꿇고 기도하여 이르시되 아버지여 만일 아버지의 뜻이거든 이 잔을 내게서 옮기시옵소서 그러나 내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되기를 원하나이다 하시니 천사가 하늘로부터 예수께 나타나 힘을 더하더라 예수께서 힘쓰고 애써 더욱 간절히 기도하시니 땀이 땅에 떨어지는 핏방울 같이 되더라’(눅 22:41-44 εκτενεστερον very earnestly. εκτεινω to stretch out, to cast out, let down an anchor).
목사님 아들이 군대에 가서 논산훈련소를 마치고 부대에 배치를 받았는데 헌병대더란다. 주일 아침에 “소대장님, 저는 교회에 가겠습니다.” 그러자 소대장은 전 소대원들을 집합시켜 놓고 “주일이라고 교회에 가는 놈은 헌병대 역사상 없었다. 이놈 헌병대 맛을 좀 보여준다. 실시!”
소대장 말 한마디에 기수별로 기합을 주는데 “너 맞아 죽어도 교회에 갈래?” 그러고 묻기에 “맞아 죽겠습니다.” 그랬더니 엎드려 놓고 기수별로 때려서 쭉 뻗자 물을 뿌리고 “너 교회에 갈 거야?”라고 묻더래요. “예, 가겠습니다.” 그러니까 소대장이 “이 놈은 제대하는 날까지 교회에 다니도록 해라.”하고 끝냈단다.
주일성수는 주님이 지키는 게 아니지요. 성도가 주일예배에 참석하는 것이고 그래야 주님이 믿음을 보고 착하고 충성된 종으로 인정하시는 거다. 어려움이 생겼다. 문제가 있다 손해가 발생한다 그래서 물러나면 그게 그 사람의 믿음수준인 것이다. 온 신하들이 보는 데서 주님께 무릎 꿇은 모습을 우리 하나님도 보심을 깨달으시기 바란다.
3) 언약(14)
솔로몬 왕은 성전봉헌기도를 시작할 때 온통 언약중심에 사로잡혀 있었다. ‘주께서는 온 마음으로 주의 앞에서 행하는 주의 종들에게 언약을 지키시고 은혜를 베푸시나이다’<14>, ‘말씀하신 것을 손으로 이루심이 오늘과 같으니이다’<15> ‘행위를 삼가서 ... 행하기만 하면’<16>.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새 언약을 맺으리라 이 언약은 내가 그들의 조상들의 손을 잡고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던 날에 맺은 것과 같지 아니할 것은 내가 그들의 남편이 되었어도 그들이 내 언약을 깨뜨렸음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러나 그 날 후에 내가 이스라엘 집과 맺을 언약은 이러하니 곧 내가 나의 법을 그들의 속에 두며 그들의 마음에 기록하여 나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그들은 내 백성이 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그들이 다시는 각기 이웃과 형제를 가리켜 이르기를 너는 여호와를 알라 하지 아니하리니 이는 작은 자로부터 큰 자까지 다 나를 알기 때문이라 내가 그들의 악행을 사하고 다시는 그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렘31:31-34 עדי 야다 experience).
아프리카 선교의 아버지 리빙스턴이 16년 동안 밀림에서 선교하다가 잠시 조국에 들러 캠브리지 대학에서 강연을 하게 되었단다. 그는 말라리아 병에 걸렸다가 아직도 회복되지 않은 건강상태였고, 또 사자에게 물린 한쪽 어깨 때문에 몹시 부자연스러운 행동을 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리빙스턴은 당당한 목소리로 말하기 시작하였다. “아프리카에 들어가 그곳에 있는 영혼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일, 하나님께서 그 일에 나를 불러 주셨다는 사실에 대하여 기쁘지 않은 날이 없었습니다. 사람들은 내가 그곳에서 많은 희생을 한 것으로 생각하고 말을 하지만 나는 도무지 갚을 수 없는 하나님께 진, 큰 빚의 일부분을 갚았을 뿐입니다. 이것을 결코 희생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장차 영광스러운 소망과 복된 상급을 약속 받고 일을 하면서 어찌 희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 여러분 중에 하나님을 위해 희생한다는 말이나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런 생각들은 당장 버리십시오. 절대로 희생이 아닙니다. 오히려 특권입니다. 이 모든 것들은 우리를 위해 장차 나타날 하나님의 영광과 비교해 볼 때 아무 것도 아닙니다.” 이러한 삶이 언약확신 언약중심인데 솔로몬 왕도 그랬다.
자 이제 오늘 설교교훈 중에 우리의 자신을 지적한 그 화살표에 우리의 신앙중심과 삶을 맞추자. 오늘 설교는 솔로몬 왕의 기도중심(태도)을 뚜렷하게 볼 수 있게 해 주셨다. 제단 앞을 중요시함으로! 자백자세로! 언약확신으로! 솔로몬 왕의 기도자세를 잘 활용하는 신앙생활이길 축복한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