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rcheunhyero
- 2020년 12월 27일
2020년 12월 27일 설교
“이 말을 하였으니!” (막 7:24-30 ‘수로보니게의 믿음’ 20.12.27) 여러분, 베토벤이나 존 밀턴, 루스벨트 대통령... 이 사람들의 공통점이 무언지 아는가? 좀 더 쉽게 우리나라 사람의 예를 들어보면, 시인 송명희, 강영우 박사, 피아니스트 이희아... 이 분들의 공통점이 있잖아요. 장애를 뛰어넘고 인간승리를 이룬 삶을 살아간 것이다. 영국의 시인 존 밀턴(John Milton 1608-1674)은 사랑하는 아내를 잃고 실명한 후에 ‘실락원’이라는 서사시 12권을 썼단다. 우리가 잘 아는 음악가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음악가에게는 치명적인 청각장애 중에도 위대한 교향곡들을 작곡해냈다. 루스벨트(Franklin Delano Roosevelt 1882-1945) 대통령은 39세에 소아마비에 걸려 하반신을 못 쓰는 장애인이 되었지만, 미국통령 역사상 유례가 없는 4선 대통령이 되었다. 시인 송명
churcheunhyero
- 2020년 12월 25일
2020년 12월 25일 성탄절 설교
“어떤 성탄입니까?” (눅 2:4-14 ‘성탄의 의미’) 2020. 12. 25. 인간의 눈물을 화학실험으로 분석해 보면 99%는 수분이고 나머지 1%는 염화나트륨(소금)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이 실험에는 분명한 실책이 있는데 그것은 눈물에 녹아 있는 아픔과 기쁨을 전혀 밝혀내지 못한 점이다. 자식의 임종을 바라보는 엄마가 말없이 흘리는 그 눈물에는 가슴에 무덤을 만드는 통한이 녹아있고, 또 아들을 해산하고 그 아들을 품에 안은 산모의 눈물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사와 희열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2001년 3월 4일 3시 4 7분, 방화로 발생한 홍제동 주택 화재사고는 진압하는 중에 불타던 건물이 무너지면서 소방관 6명이 목숨을 잃고 3명은 부상을 당했다. 희생자 여섯 명 중에는 결혼을 며칠 앞둔 소방관이 있었고, 고생만 하신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려고 보다 넓은 집을 사 놓고 이사준비를 하던 40대 소방관도 있었다. 그토록 고맙고 자랑스러운
churcheunhyero
- 2020년 12월 20일
2020년 12월 20일 설교
“헛된 경배!” (막 7:1-9 ‘신앙생활의 본질’ 20.12.20) 지금 보는 사진은 오른 쪽 야구선수가 주인공인데, 그 선수는 이종범 씨이다. 그는 지난 달 11일 SBS방송 ‘불타는 청춘’ 프로그램에 나와서 자신이 일본 야구선수시절에 찍은 사진을 보여주었다. 그 이유는 머리중앙에 동전 500원짜리 크기로 머리가 빠져 있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려는 것이었다. 그 탈모의 사연은 이렇다. 이종범 선수가 일본에서 한참 잘 나갈 때 팔꿈치를 다쳤는데, 그 때부터 실수를 시작하였단다. 첫해 4월에만 6경기 연속 실책을 쏟아냈다. 전반기 내내 호시노감독에게 질타를 받다가, 결국 유격수에서 좌익수로 수비 자리를 옮겨야 했다. 그 당시 일본 기자들의 싸늘한 냉소를 그는 아직도 잊을 수 없단다. 그때 너무 심한 스트레스 때문에 500원짜리 동전 모양으로 원형탈모가 두 개나 생겼고, 온갖 약을 써도 아무 소용없자, 유성 매직을 탈모증 자리에 칠하기도 하였단다. 그
churcheunhyero
- 2020년 12월 13일
2020년 12월 13일 설교
“왜 손을 댑니까?” (막 6:53-56 ‘예수님의 교회’ 20.12.13) 위 두 그림은 지도인데, 파란 색은 섬진강 유역의 홍수피해위험 지도이고 붉은 색이 올여름에 실제로 발생한 홍수 피해신고 지도이다. 두 지도가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올여름에 섬진강 유역을 휩쓸고 엄청난 침수피해를 입혔던 그 물난리는, 사전에 홍수피해를 예상한 홍수위험지도와 거의 틀리지 않았다. 하동 화개장터 일대는 침수위험이 클 것으로 표시해 두었고, 구례도 마찬가지였는데, 홍수위험지도에 표시해 두고 염려하던 그대로 홍수피해는 이루어지고 말았다는 것이다.
하동군은 2015년 화개장터 일대를 침수위험이 클 ‘하천재해 위험지구’로 선정하고 이 지역에 1.7km길이의 보축을 설치하겠다고 계획을 세워놓았지만 정작 공사를 제대로 진행하지 않았고, 그 이유를 이렇게 하동군청 공무원이 해명하였다. “해당지역을 공사하면 주변 상인들의 민원을 우려하였기 때
churcheunhyero
- 2020년 12월 7일
2020년 12월 6일 설교
“깨달아집니까?” (막 6:45-52 ‘예수님에 대한 인식’ 20.12.6) 지금 다 함께 진지하게 생각해보자. 빈 들판에서 해는 저물어 가는데 2-3만 명이 예수님께 설교를 듣다가 저녁밥을 굶게 되었지요. 배고픈데 어둠을 만난 것이다. 그 사람들은 예수님께 ‘달려와 그들보다 먼저 갔더라’를 할 만큼 예수님을 열심히 지지한 사람들이었다. 광신적이라고 할 만큼 예수님을 전폭적으로 따라가도 어둡고 배고픈 일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예수님을 모시고 가던 배도 풍랑을 만났다. 예수님을 따라가서 예수님의 설교를 찬성하고 빠져들 지라도 항상 배부르고 편안한 일만 생기는 게 아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이 예수님을 따르다가 배고픔과 어둠을 당해도, 예수님을 모시고 가다 풍랑을 만나도, 예수님을 주님으로 모시고 기다리면 모든 게 합력하여 선을 이루는 삶을 맛 볼 수 있다. 이게 하나님의 자녀로 살아가는 믿음생활이다. 찬송가에도 445장 1절에 “태산을